분류 전체보기40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12) - 노인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참여(2) 1. 노인여가 1) 노인 여가의 개념 - 여가(leisure)는 ‘남을 여(餘)’에 ‘겨를 가(暇)’, 즉 나머지 시간의 ‘틈’ 또는 ‘겨를’을 의미 하는 말로서 일과는 분리되는 여유시간을 의미한다. - 여가(leisure)를 전통적인 개념으로 정의하면 자유로운 시간(free-time)이나 일하지 않는 시간(non-work time)으로부터 벗어난 자유와 휴식 그리고 즐거움 등을 누릴 수 있는 여유 시간을 뜻한다. - 카플란(Kaplan, 1961)의 노인의 여가활동의 개념은 다음과 같다. • 첫째, 사회적으로 유용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욕구, • 둘째, 자신이 사회의 한 부분으로 인정받고 싶은 욕구, • 셋째, 여가 시간을 만족스러운 방법으로 사용하려는 욕구, • 넷째, 정 상적인 동반자 관계를 즐기려.. 2024. 3. 7.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11) - 노인의 사회적 관계와 사회참여(1) 1. 노인의 사회참여 1) 사회참여(Social participation)의 정의와 중요성 - 인구 고령화의 가장 본질적인 문제는 생산력이 지배적인 가치규범으로 자리잡은 산업사 회에서 생산력이 저하된 노인의 역할 상실과 사회적 소외의 문제로 정의될 수 있다. 이 러한 현상은 가족관계의 변화와 이로 인해 전통적으로 우리나라 노인들이 가족 내에서 가졌던 위상마저 붕괴되는 현상과 맞물리며 더욱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되었다. - 따라서 노인의 상실된 사회적 지위 및 역할을 회복시키고 이를 통해 노인의 사회통합을 기하기 위해 노인의 사회참여를 활성화시키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는 향후 노인의 삶을 질적 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보다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 사회학자 팔모어(Palmore, 1981)는 사회참여란.. 2024. 3. 7.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10) - 노인의 소득보장(2) 1. 노인의 빈곤문제 1) 개 요 - 우리나라 은퇴연령층(66세 이상)의 상대적 빈곤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국 중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지만, 소득 분배지표는 2016년 이후 개선되고 있다. - 우리나라 노인의 빈곤 문제는 사회 구조적이고 문화적인 이유로 살펴볼 수 있다. • 첫째, 한국 사회에서 부모는 자녀 양육에서부터 성인 자녀의 결혼 및 주택마련에 이르기까지 노인이 된 부모가 여전히 자녀를 지원하기 위한 자산 이동률이 높다. • 둘째, 노후의 소득 보장제도로 여러 연금제도가 존재하지만, 소득대체율이 낮고, 연금제도가 도입되었을 시 기에 연금을 납입한 경우 납입금 자체가 매우 낮은 경우가 많아 노년기의 소득원으로 부족한 경우가 많다. • 셋째, 한국의 노인들은 자산의 구성이 대부분 부.. 2024. 3. 6.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9) - 노인의 소득보장(1) (1) 노인의 일과 은퇴 1) 노년기 일의 개념과 기능 • 노동은 다른 어떤 활동보다도 인간의 삶에서 커다란 부분을 차지한다. 노동은 때로 하 기 힘든 고역으로 인식되기도 하지만, 만일 일자리를 얻지 못해 노동하지 못하게 된다 면 상실감을 느끼고 방황하게 될 것이다. 일하는 조건이 상대적으로 좋지 않고 하는 업 무가 지루하더라도, 노동은 인간의 사회심리와 일상생활에서 매우 중요한데, 노동의 다 음과 같은 특성 때문이다. - 돈: 임금은 인간이 생존하고 일상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필요한 것을 충족시켜 줄 수 있게 하는 주요한 자원이다. - 활동수준: 인간은 노동을 함으로써 기술과 능력을 습득하고, 또한 그것을 발휘할 기회 를 얻게 된다. - 다양성: 노동은 집안 환경과는 다른 환경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해준다.. 2024. 3. 6. 이전 1 ··· 5 6 7 8 9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