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Don't be afraid of challenges and be grateful for everything

분류 전체보기40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8) - 노인의 심리적 노화 1. 심리적 노화의 개념 1) 개요 - 노화 과정에 따른 심리적 변화는 감각 기능, 지각 능력, 지적 능력, 기억력, 학습 능력과 창의력, 정서 및 성격 변화라는 차원으로 살펴볼 수 있다. 2) 노인의 심리적 기능의 변화 (1) 감각 기능의 변화 • 시력 감퇴한다.(노인성 백내장, 눈부심 현상, 야맹증, 황화 현상) • 청각 기능이 쇠퇴한다.(노인성 난청) • 혀 표면의 변화나 미각의 감소 혹은 위축된다.(여성보다 남성이 더 둔감, 흡연 여부) (2) 지각 능력의 변화 • 노화하면서 뇌의 신경원과 신경조직이 퇴화함에 따라 감각기관을 통하여 유입된 정보 의 해석과 추리 과정, 정보에 대한 반응 속도가 퇴화한다. • 시·공간 통합 능력과(지각의 경직성) 주의집중력, 경계 능력이 감퇴한다. (3) 지적 능력의.. 2024. 3. 6.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7) - 노인의 사회적 노화 (1) 사회적 노화의 개념 1) 개요 - 개인은 사회구조 내의 다른 구성원들과의 관계 속에서 개인의 역할과 사회적 습관과 관 련된 사회적 연령이 형성된다. 사회적 연령이란 시간을 사회적으로 관련된 단위로 구분 하는 것으로서 달력 시간을 사회적 시간 즉 사회적 시계로 변환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 로 일하는 시기, 결혼시기, 자녀양육시기, 은퇴시기, 노년기, 사망 시기 등으로 구분한다. 2) 노인의 사회적 역할 - 우리나라의 노인들은 자본주의 체제에서 역할 없는 역할(roleless role)을 하게 되어 사 회적 지위는 하락하게 되고 자아정체성 및 사회적 신분의 하락은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 일반적으로 사회적 역할과 관련하여 개인이 직면하는 적응의 방식은 두 가지인데, 첫째, 자신이 소속해 있.. 2024. 3. 6.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6) - 노인장기요양보험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내용 - 2001년 대통령 경축사에서 노인요양보장제도 도입을 발표하였고, 3년간의 시범사업 실시 한 후,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제정(2007. 4.)을 통해, 2008년 7월부터 시행되었다. - 노인장기요양보험은 건강보험, 국민연금, 고용보험, 산재보험에 이은 제5의 사회보험으로 불리는 사회보장제도이다. - 노인장기요양보험법 제1조 “고령이나 노인성 질병 등의 사유로 일상생활을 혼자서 수행하기 어려운 노인 등에게 제공 하는 신체활동 또는 가사활동 지원 등의 장기요양급여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여 노후의 건 강증진 및 생활안정을 도모하고 그 가족의 부담을 덜어줌으로써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하 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 장기요양등급 인정자는 2020년 12월 말 기준, 1등급 43,040.. 2024. 3. 6.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5) - 치매의 이해 1. 치매의 개념과 진단 1) 치매의 개념 - ‘디멘시아(Dementia)’는 1797년도에 프랑스의 의사 필립 피넬(Philippe Pinel, 1745~1826)이 의학용어로 처음 채택했다. 이는 라틴어에 기원을 두고 있으며, ‘박탈 또 는 상실’을 뜻하는 접두사 ‘de’와 ‘정신’을 의미하는 어근 ‘ment’, 그리고 ‘상태’를 가리 키는 접미사 ‘ia’의 합성어다. 해석하자면 ‘정신이 부재한 상태(out of mind)’를 일컫는 다고 할 수 있다. - ‘癡呆’에서 癡는 ‘어리석을/미련할 치’이며 呆는 ‘어리석을/미련할 매’로, 어리석고 미련 하다는 것을 반복하여 강조하고 있다. - 노인성 치매란 정상적으로 생활해오던 사람이 65세 이후 다양한 원인에 인해 뇌기능이 손상되면서 이전에 비해 인지 기.. 2024.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