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40 [사회복지학] 자원봉사론(3) - 자원봉사의 필요성 그리고 기본철학 1. 자원봉사의 필요성 1) 개인적 측면 (1) 자원봉사자의 측면 ① 산업사회의 복잡화와 거대화에 따른 무기력, 외로움 해소 및 여가시간의 증대 ② 소외감, 불안감, 주체성의 상실감에 따른 삶에 대한 불안이 높아져 사람들 사이의 교류나 경험에 의한 심리적 충족감 ③ 심각한 사회문제들이 곧 자신의 문제가 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의 고양 ④ 자신의 잠재력 발견과 긍정적 자아상 확립 ⑤ 인간의 존엄성과 사회적 연대감 증진 ⑥ 공동체의식의 배양 ⑦ 새로운 지식과 기술의 습득 및 확장 (2) 수요자(복지대상자)의 측면 ① 가족기능의 약화로 인해 대인적 욕구 증가(목욕, 식사, 외출, 정서적 교류 등의 인간적인 욕구의 증대 ② 복지자원이 증대되었지만, 인간의 욕구에 대비하여 공적 서비스 자원의 한계가 도래됨. ③ 지.. 2024. 3. 13. [사회복지학] 자원봉사론(2) - 자원봉사의 개념과 기능 1. 자원봉사의 개념 및 특성 1) 자원봉사의 개념 - 자원봉사는 지역주민의 공동복지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공동참여와 협력이 크게 요청되는 중요한 일이며, - 자원봉사활동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가치와 존엄성에 대한 신념을 강화시켜 주고 이웃, 지역사회, 나아가 전체 사회와 하나라는 공동체의식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해 주는 활동임. ** 미국 사회사업백과사전 : 지역사회 내의 개인에 의해 경제적 보상이 자발적으로 이루어지는 노력 ** 트렉커(H.B.Trecker) : 자원봉사자란 지역사회의 복지 향상에 관여하는 사회기관에서 무보수, 자발적으로 노력하는 사람 ** 엘리스와 노에스 : 시기와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는 자원봉사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자원봉사활동의 구성요소를 네 가지로 설명함. (1).. 2024. 3. 12. [사회복지학] 자원봉사론(1) - 자원봉사의 개요 1. 시민참여 1) 민주주의 철학이 기반이 된 자원봉사활동 : 인간존중과 사회적 책임 - 자원봉사활동의 주체는 국민이며, 그 방법은 전 국민이 직/간접으로 협조 내지 참여할 수 있고, 자발적이어야 하며 ,그 목적은 전 국민의 공동복지 내지 복지사회실현을 위한 자발적인 활동인 것이다. ** 매키버(R.M.Maciver) : 자원봉사는 커뮤니티 유대감의 형성을 위한 사랑활동이다. ** 링컨 대통령 : 민주주의의 원리, 즉, ‘국민의, 국민에 의한, 국민을 위한 정치’를 강조하였다. 자원봉사활동이 곧 그러함을 추구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2) 시민참여의 개념 - 시민 스스로가 자주적․자발적으로 조직을 구성하여, 영리를 목적으로 하지 않고 지역사회와 지역구성원들의 공익을 위하여 창의적으로 실시하는 활동임.. 2024. 3. 11.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21) - 노인과 죽음(2) 1. 웰다잉과 존엄사 논의 1) 우리나라 웰다잉법의 제정 과정 - 대한의사협회는 2001년 4월 12일 ‘의사윤리 지침안’을 마련하여 의사의 역할과 의무 등 을 규정하였다. - 그 윤리지침 60개 항 가운데 26조항에서는 “회복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해 환자 또는 가족들의 자율적 결정에 따라 문서로 치료중지를 요청할 경우 의사는 이를 받아들일 수 있다”고 하였다. - 환자 측 가족 등이 소생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해 심폐소생술 등의 중단을 요청할 경우 에도 응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이는 약물주입 등으로 생명을 단축하는 ‘적극적 안락사’와 달리, 치료를 중단하는 ‘소극 적 안락사’를 뜻한다. - 따라서 의사협회는 적극적 안락사에 대하여는 금지조항을 명시하였으나 그럼에도 이후 이러한 안에 대해 의학계 및 종.. 2024. 3. 10. 이전 1 2 3 4 5 6 7 8 ··· 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