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Don't be afraid of challenges and be grateful for everything
사회복지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3) - 노인의 신체적 노화

by 혜버리지 2024. 3. 5.

1. 노화란 ?

- 노화(aging)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유기체의 세포, 조직, 기관조직, 또는 유기체 전체에 일어나는 점진적인 변화”라고 일반적으로 정의할 수 있다(Beaver, 1983).

- 인간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과정 전체의 한 부분이며 생물학적 노화, 심리적 노화 및 사 회적 노화의 과정을 포함하는 넓은 뜻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 생물학적 노화(biological aging) : 신체의 기관과 체계의 구조 및 기능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 심리적 노화(psychological aging) : 축적된 경험에 의한 행동, 감각, 지각 기능, 자아에 대 한 인식 등이 시간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것을 의미한다.

- 사회적 노화(sociological aging)는 생활주기를 통하여 일어나는 규범, 기대, 사회적 지위 및 역할의 변화 등을 의미한다(이근홍, 2018; 원석조, 2018; 최성재․장인협, 2010).

 

2. 신체적 노화(생물학적 노화)의 개념 ?

- 노화에 따른 신체적 변화는 외적으로 진행되어 직접 관찰 가능한 신체 구조의 변화와 내적으로 진행되는 신체기능의

 변화로 나누어 볼 수 있다.

- 노화는 그 자체로 병리적인 것이 아니며 병이 아니다. 노화 과정에서 일어나는 어떤 생 물학적 변화 때문에

  노인이 병이나 질환에 걸릴 가능성이 커지기는 하지만 노화 과정의 신체적 변화 때문에 반드시 모든 노인의 건강이

  나빠지는 것은 아니다. 노화의 진행과 함께 발병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은 병리적 노화 때문이다.

- 정상적인 노화가 병리적 노화로 인해 질병으로 이환되는 과정은 아래와 같다

<과정>

유전과 환경 > 위험인자(성, 섭식행위, 환경오염 등) > 신체구조의 변화 및 신체기능 저하 > 

위험인자(흡연, 음주, 생활습관, 스트레스 등) > 각종 질병

 

- 생물학적 노화는 신체적 노화와 함께 생리적 노화의 개념을 포함한다.

- 신체적 노화는 신체구조와 기능의 쇠퇴로 인하여 활력을 상실하고 질병에 대한 저항력 이 약화되는 것을 의미한다. 

- 생리적 노화는 유기체의 기관, 조직체, 세포, 생체 통제기제 등의 쇠퇴와 기능이 약화되 는 것을 의미한다.

 

3. 생물적 노화의 원인과 특성 ?

- 외적 환경요인에 의해 촉진되지만, 유전 등 내적 요인에 의해 주로 유발된다. 

- 모든 사람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지만 노화 속도나 정도는 개인차 있다.

- 신체구조와 기능의 저하, 일상생활 능력 저하로 인해 신체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며, 질 병에 대한 저항력 상실을

  초래하고, 생명의 종식에 이르게 한다.

 

4. 생물적 노화의 영향 ?

- 생물적 노화의 수용 → 심리사회적 기능의 유지와 발전에 영향을 준다. 

- 생물적 노화에 집착/몰두 → 심리사회적 기능의 손상과 삶의 만족도 저하에 영향을 줌

 

<신체적 노화에 따른 변화>

신체구조 및 기능 변화 양상
피부 및 모발 조직 - 피부의 탄력성 상실과 주름
- 모발이 가늘어지고 흰색으로 변화 •손톱과 발톱이 두꺼워짐  - 상처가 치유되는 데 50% 이상 오래 걸림
신경계(뇌, 신경 조직) - 뇌 크기와 무게가 감소하며 뇌 속의 신경계와 신경세포의 수
  지상 돌기가 감소함
- 자극에 대한 반응시간이 느려짐
- 수면 패턴이 변화하고 깊은 수면을 취하는 시간이 줄어듦
심혈관계 - 심장 기능의 효율성이 저하됨
- 동맥 및 정맥이 경화되면서 혈압이 높아지고 뇌졸중 발생 
  가능성이 증가함
근골격계 - 골밀도 감소와 척추의 압축현상으로 키가 작아지고 근육의
  양과 강도가 감소
- 연골 경화 및 윤활 감소로 관절염이 발생하기 쉬움
- 여성은 골다공증으로 인한 골절 및 척추만곡증이 되기 쉬움
호흡기계 - 폐기능이 저하되고 호흡이 곤란해짐
- 폐렴에 걸릴 가능성이 커짐
비뇨기계 - 신장 기능 정하로 유해물질 제거와 혈중 이온 균형 유지가 
  어려워짐
- 방광의 탄력성 저하로 감염 및 요실금 발생 가능성 증가
내분비, 생식계 - 혈당 조절 능력 저하로 당뇨병 발생 가능성 증가
- 여성은 에스트로겐 분비 중지 후 폐경으로 가임 능력 상실
- 남성은 40세경부터 활동성 있는 정자의수가 감소하기 시작
감각계_촉각 - 통각이 예민해지고 체온 조절 능력 저하로 저체온증,
  고체온증 가능성이 커짐
감각계_시각 - 시각기능 저하로 물체를 분별하는 데 빛이 더 필요해지고
  광선에 민감해짐
- 색채 식별 능력이 저하되고 녹내장, 백내장 발생 가능성이
  커짐
감각계_청각 - 청각 기능이 50%까지 저하되며 소리를 식별하는 데 어려움
감각계_ 후각 및 미각 -  후각이 심각하게 손상되고 이로 인해 미각이 둔해짐

 

 

5. 노화의 유전적 이론 ?

- 예정계획이론(shock,1977) : 유전인자(DNA) 속에 노화의 속성이 미리 프로그램화되어 있다가 유기체가 적절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그 노화의 속성이 나타남으로써 노화현 상이 생긴다는 이론 

- DNA 작용 과오 이론(shock,1977) : DNA가 단백질 또는 효소를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DNA에 포함되어 있는 유전정보

  (genetic code)에 맞지 않는 것을 생산하게 되는데, 이 러한 단백질이나 효소가 축척되어 노화를 일으킨다고

  주장하는 이론

 

6. 비유전적 세포이론 ?

- 사용마모이론(wear-and-tear theory; Wilson, 1974):기계를 많이 사용하면 부품이 마 모되어 그 기능이 약화되고

  정지되는 것과 같이 신체기관도 오래 활동하면 점진적으로 기계처럼 퇴화된다는 이론

- 노폐물 축적이론(waste-product-theory):세포 속에 해로운 물질과 제거될 수 없는 폐기 물이 생성되어 축척되는데

  이러한 축척된 폐기물질이 세포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함으 로써 노화현상이 생긴다는 이론

- 교차연결이론(cross-link- theory): 세포 내의 단백질로서 가장 많은 교원질(콜라 겐,collagen)의 분자들이 서로 상대

  에게 부착되어 이들 분자가 움직일 수 없게 되는데, 이와 같은 상태는 화학적 반응을 유발한다. 이에 따라 조직은

  탄력성을 잃게 되어 노화 가 촉진된다는 이론

- 활성산소이론 또는 유해산소론(free radical theory): 활성산소의 부작용이 결국 정상적 분자의 기능에 손상을 초래

  하고 축척된 손상은 결국 조직의 기능손상이라는 노화를 촉 진하게 된다고 주장하는 이론

- 신체적 변이이론(somatic mutation theory) : 세포가 방사선이나 기타 원인 때문에 상 해를 받으면 세포 원래의

  성질이 변하고 이렇게 변이된 세포가 축척되어 노화가 일어난 다고 주장하는 이론

 

7. 면역이론 ?

- 면역반응이론(immune reaction theory): 항체의 이물질에 대한 식별능력이 저하되어 이 물질을 다 파괴하지

  못하게 되는데 미처 파괴되지 못한 이물질이 계속 체내에 있으면서 부작용을 일으켜서 결국은 노화를 촉진한다는 이론

- 자동면역반응이론(autoimmune reaction theory): 체내의 면역체계가 항체를 만들 때 정 상세포까지 파괴하는 항체를

  만들게 되고, 이러한 자동면역 항체가 계속 증가하여 정상 세포를 파괴함으로써 노화가 진행된다고 주장하는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