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노인 인구의 변화 ?
- 유엔 인구통계 추이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전 세계의 기대여명은 평균 78.6세이며, 2050 년에는 83.1세로 증가
하여 아프리카와 중남미 몇 개국을 제외하고 모두 80세 이상 생존할 것으로 예측된다.
- 60세 이상 노인인구는 1980년에 3억 8,200만 명에서 2017년에 약 9억 6,200만 명으로 증가하여 2배 이상의
증가율을 보였으며, 2050년에는 21억 명이 될 것으로 추론된다.
- 80세 이상 고령 노인인구는 더욱 급속하게 증가하여 2017년 약 1억 4,000만 명에서 2050 년까지
약 4억 3,000만명으로 3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어 ‘노인 인구의 고령화’가 함께 진행되고 있다.
- 한국의 기대수명은 82.5세로 세계 국가 중 높은 수준으로 추정
- 한국의 고령인구 구성비는 2019년 14.9%로 1970년(3.1%)에 비해 5배로 증가한 수준이 며,
이후 계속 증가하여 2067년에는 46.5%로 높아질 전망이다.

2. 인구의 고령화 ?
- UN : 만 65세를 기준으로 전체 인구의 7%, 14%, 20% 선에서 7% 이상~14% 미만인 경우는
고령화 사회(aging society), 14%이상~20% 미만이면 고령사회 (aged society), 20% 이상인 사회를
초고령 사회(super-aged society)라고 한다.
- 우리나라는 이미 2000년을 기점으로 고령화 사회가 되었고 2017년에 14%를 넘은 고령사회(aged society)가
되었으며, 2025년에 20% 이상이 되어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 가 될 전망이다.
- 한국이 고령화 사회에서 고령사회로 이동하는 기간은 17년이며 일본은 24년, 미국 72년, 프랑스 115년,
독일 40년, 이탈리아 61년, 스웨덴 85년이고 우리나라가 고령사회에서 초 고령 사회로 진입하는 기간은 8년에
지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인구고령화의 원인 : 우리나라의 출산율은 지난 40년간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사망률은 지 속적 증가추세,
출산율의 급감에 이어 사망률의 급증이 진행되면서 인구고령화와 인구감소율이 세계에서 가장 빠른수준
- 세계의 합계출산율은 2015~2020년 2.47명으로 1970~1975년 4.47명에 비해 2.0명 감소 한 수준임이고,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2015~2020년 1.11명으로 1970~1975년 4.21명에 비 해 3.1명 감소한 수준
- 한국의 생산연령인구 구성비는 1966년 53.0% 이후 계속 증가하다가 2012년 73.4%로 정 점에 이른 후 감소하여
2019년 72.7%, 2040년에 56.3%, 2067년에는 45.4% 수준까지 낮 아질 전망이다.
- 인구 고령화 문제는 미시적으로는 장기화된 노년기의 개인, 가족, 사회의 적응 과제를 탐 색하는 것이고,
거시적으로는 노인들이 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서 적응하고 살아갈 수 있는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정책과
서비스를 수립하고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 인구 고령화로 인한 사회문제에 대응하기 위하여 개인과 사회의 인식전환을 기본으로 생활세계 모든분야에서
사회와 정부차원의 혁신적인 전환이 요구
3. 인구 고령화에 따른 사회적 영향 ?
(1) 코호트별 노인 특성의 다양화와 노인인구의 고령화
- 우리나라의 고령화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법적으로 노인인구에 유입되는 2020년을 전후 로 진행속도와 내적
다양성이 급진전될 것으로 예측된다.
- 노인인구의 내적 고령화로 인해 향후 의료 및 요양 서비스, 주거와 다양한 복지 프로그 램 개발의 중요성과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2) 빈곤화, 양극화, 소득화 성별격차
- 우리나라의 노인 빈곤율은 OECD 국가들 중 최고의 수준이다.
- 2018년 중위소득 50%를 기준으로 할 때 2018년도 기준 노인 빈곤율은 46.1%
- 2018년 전체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중 65세 이상 노인 수급자는 54만 3천 명으로 전체 수급자의 32.8%
- 여성노인이 남성보다 2배 많고, 독거노인 중 여성 비율은 80%가 넘어 노인 빈곤의 성 별격차도 주목
(3) 노인 인구의 지역 간 격차
- 고령화가 가장 심화된 곳은 전남(22.3)> 경북(19.8)> 전북(19.7)> 강원(19.0)> 부산 (17.5) 순 • 세종(8.9)< 울산(11.1)< 경기(12.0)< 인천(12.6) 순으로 고령화 수준이 고령 인구 비율이 낮은 지역으로 나타남
- 지역 간 고령화 차이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고령화 정책설계의 중요성을 시사
(4) 생활양식 가치관의 변화
- 고령자들의 문화 여가 사회참여 양상에도 변화가 뚜렷함. 2018년 노인들의 디지털 리터 러시 수준은 꾸준히
향상되고 있음
- 노인들의 가족 및 가족관계에 대한 인식과 가치관도 변하고 있음. 노인들의 이혼건수와 재혼건수 및 재혼율도
지난 20년 동안 꾸준히 개방적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 노인들의 재혼율 증가폭이 남성에 비하여 더 높아
가치관의 변화가 있음을 알 수 있음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6) - 노인장기요양보험 (0) | 2024.03.06 |
|---|---|
|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5) - 치매의 이해 (0) | 2024.03.06 |
|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4) - 노인의 건강 (0) | 2024.03.06 |
|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3) - 노인의 신체적 노화 (0) | 2024.03.05 |
|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1) - 노인복지의 개념 (0) | 2024.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