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Don't be afraid of challenges and be grateful for everything
사회복지

[사회복지학] 노인복지론(1) - 노인복지의 개념

by 혜버리지 2024. 3. 5.

1. 노인복지란 ?

-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사회복지의 한 분야

- 노인의 사회적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사회적 노력이며,  노인문제를 예방하고 해결하기 위한 대책으로서, 

  노인의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필요한 서비스를 제 공하는 정책적 · 실천적 모든 활동

 

2. 노인복지론의 최종목표는 ?

- 노인의 사회적 적응을 향상시킴으로써 노인문제를 예방, 경감, 해결하는데 기여하는 것

- 인구고령화에 따라 노인에 대한 이해 및 노화의 주 요측면과 관련이론들을 살펴 노인복지정책의 기초지식으로

  행정체계,  재정, 관련법 파악으로 소득보장, 의료보장, 주거보장, 사회적 서비스 등의 차원에서 노인복지정책 이해 

- 노인상담, 사례관리, 프로그램 등 노인복지서비스 및 실천에 대해 이해 하고, 노년기의 건강, 정신보건, 사회참여,

  소외, 장기요양 등 노인복지 분야별 쟁점과 과제에 대한 연구

-  한국의 고령화에 따른 노인복지의 과제와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발전방향에 대해 고찰 

- 한국 현실에서 노인 및 노인복지에 대한 이해를 재고 및 노인복지프로그램 설계

 

3. 나라별 노인을 지칭하는 용어 ?

- 노인은 나이가 들어 제반 기능이 저하된 사람에 대한 일반적 호칭

- 노년: 노년기라는 발달 과정 상의 시간적 의미

- 고령자: 장년-노년층의 보다 넓은 인구계층(특히 55세 이상의 자)

- 노인이나 고령자를 주로 사용하며, 고령자라는 의미에는 생산성을 지닌 존재로서의 의미가 더 큼

- 영어: older person, aged, elderly, senior citizen, golden age, third age

- 프랑스: 제3세대, 일본: 실버세대 또는 노년

- 중국: 長年(60+), 尊年(70+) 

** 최근에는 노인이나 고령자 외에 실버세대, G세대, 어르신, 시니어 등의 용어가 확산 되 고 있으며 보편적으로 직접적인 대화에서는 어르신이란 용어가 존칭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

 

4. 노인의 개념 ?

- 노인에 대한 일반적 정의는 노화의 복합적인 측면이 고려된 정의로서, 노화의 세 가지 측면을 감안한 즉

  노인은 ‘생리적 및 신체적 기능의 퇴화와 더불어 심리적인 변화가 일 어나서 개인의 자기유지 기능과

  사회적 역할 기능이 약화되고 있는 사람’이라고 정의하 고 있음(권중돈, 2016; 최성재․장인협, 2010, 서강훈 외, 2018).

-  [Breen(1960)과 Biren의 정의]  노인을 (1) 생리적 및 생물학적인 면에서 퇴화기에 있는 사람, (2) 심리적인 면에서

   정신기능과 성격이 변화되고 있는 사람, (3) 사회적인 면에서 지 위와 역할이 상실된 사람으로 보고 있음

-  1951년 제 2회 국제 노년학회에서는 노인을 “인간의 노령화 과정에 나타나는 생리적, 심리적, 정서적, 환경적 및 행동의

   변화가 상호작용하는 복합과정에 있는 자”로 정의

- 노인에 대한 조작적 정의는 크게 개인의 자각에 의한 노인, 사회적 노인, 역연령에 의한 노인, 기능적 연령에 의한

  노인으로 구분할 수 있음

학 자 연령구분
뉴가르텐 55세 ~ 64세 연소노인
65세 74세 중고령노인
75세 이상 고령노인
브로디 60~64세 연소노인
65세~74세 중고령노인
75세 이상 고령노인
애췰 60세~74세 연소노인
75세~84세 중고령노인
85세 이상 고령노인

<노인 구분에 대한 연령기준>

 

5. 노인복지의 원칙 ? 

- 유엔노인원칙

1) 독립 : 의식주, 소득보장, 고용을 통한 독집

2) 참여 : 사회통합, 복지정책 형성 및 지역사회에 대한 참여

3) 돌봄 : 가족, 지역으로부터의 돌봄 및 보호, 적정수준의 시설보호,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안녕의 최저수준 유지

4) 자아실현 : 잠재력 개발을 위한 기회추구, 여가생활에 대한 접근성 강화

5) 존엄성  : 학대로부터의 자유, 존엄과 안전을 누릴권리, 공정한 대우

① 인권존중

-  노인복지에서 일관성 있게 수용되고 준수해야 할 가치와 원리 중의 하나는 사람은 누 구나 태어나면서부터 인간

   으로서의 존엄성과 권리를 지니고 있다는 것

② 정상화 

- 노인들로 하여금 가족과 지역사회 내에서 인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서는 정상화(normalization)의

  원리에 바탕을 두고 노인복지가 실천되어야 함

- 노인복지에서는 정상화에 입각하여 사회적 기능상의 심각한 문제를

  가진 노인들이 보 통의 생활환경 속에서 정상적인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물리적ㆍ정신적ㆍ교육적ㆍ 사회적ㆍ문화적

  환경을 조성하고, 사회의 구성원으로서의 그들의 권리와 가치가 존중 되도록 해야 함

③ 통합화 

- 노인복지는 노인의 복합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며 노인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노인과 다양한 서비스를 연결시키고 이러한 서비스들을 통합하며, 지역사회의 구성원들과 밀 접한 관계를 가지고 상호작용을 하도록 하는 통합화(integration)의 원리와 밀접하게 관련됨

④ 권리보장

- 노인은 다른 사회구성원들에 비해 사회적 기능상의 심각한 문제로 인하여 정상적인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지 못하므로

  노인의 인권이 보장되고, 필요한 서비스에 쉽게 접 근하며, 사회참여를 촉진하기 위해

  그들의 권리가 최대한 보장되어야 함

- 노인은 소득, 건강, 여가, 일자리, 주거, 신체적 수발 등 다양한 욕구가 충족되면서 최 소한의 문화적인 생활이 안정적으로

 유지되며, 사회참여를 통해 국가와 지역사회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다양한 권리가 보장되어야 함

⑤ 경로사상 

- 경로사상은 노인을 공경하는 사회구성원들의 생각이라 할 수 있음 

- 노인이 되면 가족, 지역사회 및 국가의 도움이 없이는 안락한 생활을 할 수 없는 사 회적 약자일 수 있으므로 노인들이

  심신의 안정과 건강을 유지하고 안락하고 편안한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노인을 공경하고 보살피는

  노력이 필요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