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40 [사회복지학] 자원봉사론(11) - 자원봉사 프로그램 개발 1. 자원봉사 프로그램 계획의 구조 1) 프로그램의 정의 - “해야 할 일에 관한 계획과 지침” Barker (1995) - “하나의 목적달성을 위한 여러 활동의 집합체” Rapp & Poertner (1992) - “조직의 설립이념 또는 사명(mission)을 충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기술이 클라이언트 집 단에 적용되는 활동이 이루어지는 체계” Patti (1983) - “특정한 목표 달성을 위한 조직화된 활동의 체계” Royse 과 동료학자들 (2001) - “자체적으로 다소간에 목적, 목표, 정책, 절차, 규칙 그리고 예산을 갖춘 조직의 한 구성요소” Weingbach (2003) - 종합해 보면, 특정한 목적 달성을 위하여 인적, 물적 자원과 기술이 투입되어 일정한 절차에 따라 이루어지는 조직의 계.. 2024. 3. 27. [사회복지학] 자원봉사론(10) - 자원봉사활동에서의 갈등관리 1. 자원봉사 갈등의 개념과 갈등요인 1) 갈등(葛藤)이란? - 갈등은 누가 인식하느냐와 관련되어 있고, 주관적임. - 조직 내 갈등이란 희소자원, 업무의 불균형, 목표, 가치, 인지 등의 차이로 인해서 나타나는 대립적 상호작용을 의미함. (1) 갈등의 기능 - 그 집단 자체 안에 ‘팀(집단)’의식(소속감)에 대한 요구가 있음을 나타내는 현상임. - 현재의 문제해결방법이나 의사결정 기술이 한계가 있음을 드러내는 결과임. - 의사소통과정과 정보의 흐름에 있어서 부족한 점들을 밝혀주는 결과임. (2) 갈등관리 - ‘갈등을 관리한다’는 것은 갈등을 해소시킨다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님. - 조직에 해로운 갈등을 해소 또는 완화시키는 것뿐만 아니라 갈등을 용인하고 그에 상응하는 조치를 취하는 것을 의미함. -.. 2024. 3. 26. [사회복지학] 자원봉사론(9) - 자원봉사 관리과정 1. 자원봉사 관리체계 1) 자원봉사의 활동의 동향 - 자원봉사의 효과 인식 - 자원봉사의 양적 확대 - 자원봉사의 수요와 공급의 불균형 - 자원봉사자 및 자원봉사대상의 욕구 다양화 - 효과적인 자원봉사활동 육성 및 관리체계 부재 - 지역사회문제 및 지역주민의 욕구에 근거한 자원봉사활동 필요 - 자원봉사자들의 효과적인 활동으로 보다 높은 성과, 만족과 보람 - 자원봉사 대상에게 질 좋은 서비스 제공으로 바람직한 변화 창출 - 사람이 살만한 지역사회를 이루어 가는 목적 지향 2) 자원봉사 관리의 의미 - 자원봉사자들이 조직에 효과적으로 활동하여 좋은 결과를 낳도록 통합시키는 실천과 연구를 수행하는 것 3) 자원봉사 관리의 중요성 - 자원봉사자의 지속적인 활동을 위한 동기부여 - 지역사회 및 봉사대상자에 최.. 2024. 3. 22. [사회복지학] 자원봉사론(8) - 자원봉사관리자의 기능과 역할 1. 자원봉사관리자의 개념과 자질 1) 자원봉사관리자의 개념 - 조직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그리고 그들을 통해서 일하는 사람. - 자원봉사관리자, 자원봉사감독자, 자원봉사조정자로 불림. - 전문성의 정도에 따라 전문가, 준전문가, 리더로 세분화할 수도 있음 * 자원봉사자 관리의 애로점 - 자원봉사자의 중도탈락 - 예산부족- 책임의식 및 봉사의식의 결여 - 자원봉사자의 전문기술 부족- 적합한 프로그램 부족 - 전담직원 및 슈퍼바이저의 부족 * - 자원봉사관리의 주요한 당면과제 ① 자원봉사가 계속되고 있는가? ② 당면한 욕구는 충족되고 있는가? ③ 자원봉사에 대하여 자원봉사자도 클라이언트도 쌍방이 만족하고 있는가? ④ 당면한 욕구 충족을 넘어서 근본적인 상황 개선을 위해 자원봉사자와 .. 2024. 3. 21. 이전 1 2 3 4 5 6 ··· 10 다음